• About
  • KPP 소개
  • 개봉기
  • 보드 게임 규칙서
  • 컬렉션
  • 퍼즐 글
  • 퍼즐 리뷰
  • 플레잉 카드 게임
  • Home

rigmarole

  • 파워 그리드 개봉기

    3월 31st, 2022

    좌측이 기본판, 우측이 재충전판입니다. 비교하면서 개봉해보겠습니다.

    쓰인 문구도 그렇고 그림도 그렇고 재충전판이 되면서 약간씩 바뀌었군요.

    먼저 기본판 구성물입니다.
    컴포넌트, 종이 돈, 발전소 카드, 규칙서, 지도가 들어있습니다. 지도의 지명은 알파벳으로 쓰여있습니다.
    파워그리드 한국어판이 처음 나왔을 때에는 한국과 미국 지도가 있었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버전은 그 후에 나온거라 독일과 미국 지도가 있습니다.

    다음은 재충전판 구성물입니다.
    새로 생긴 컴포넌트인 망치 토큰, 1 토큰이 보이네요. 자원 토큰의 생김새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지도의 지명이 한글로 쓰인 것도 차이점이네요.

    기본판에 들어있는 참조카드입니다. 앞면에는 발전소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쓰인 표가 있고, 뒷면에는 게임 진행이 요약되어있습니다.

    재충전판에 들어있는 참조카드입니다.
    일단 앞면 표의 디자인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뒷면은 전부 아이콘으로 바뀌었군요.
    그리고 인원수에 따라 충전하는 자원의 수를 나타내주는 참조 카드가 추가되었습니다. 기본판에는 이런 참조 표가 규칙서 맨뒷장에 인쇄되어있어서 규칙서를 한쪽에 두고 했어야했는데 재충전판에서는 그러지 않아도 되겠네요.

  • 파워 그리드 지도 모음집 개봉기

    3월 31st, 2022

    파워 그리드 재충전판 지도 모음집입니다.

    원래 파워그리드는 맵(지도) 확장이 하나씩 별도로 출시되었었습니다. 별도의 박스가 없이 비닐 포장되어있는 지도 확장을 모으다보면 본판 박스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서 콜렉터 박스같은게 나오곤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코리아보드게임즈에서 설문을 통해 엄선한 지도 확장 중 일부와 프로모 카드 9종이 포함되어있는 제품이 나왔습니다. 찾아보니 이 지도 모음집이라는 게 한국에만 특별하게 출시된 버전이더라구요.

    박스 뒷면입니다.
    기존에 나왔던 파워 그리드 지도 확장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려주네요. 아쉽지만 지도 모음집에는 모든 지도확장이 포함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재충전판에 호환이 되지 않는 지도도 있고, 앞서말한 설문에서 높은 표를 받지 못한 지도(재미가 없어서겠죠?)들은 없습니다.

    구성물입니다.
    지도 확장 5종과 그 지도 확장에서 쓰이는 참조표, 그리고 프로모 카드들과 모든 구성물의 규칙이 들어있는 규칙서가 있습니다.

    프로모 카드 9장입니다.
    원래는 보드게임긱 스토어에서 별도로 구매했어야하는 것들인데, 포함되어있어서 굉장히 좋습니다.
    3번째줄 아래의 프로모 카드에는 작가의 다른 게임인 암흑의 복도와 급류타기 이스터에그가 있군요.

    아래는 지도 확장들의 모습입니다.

    이탈리아
    중국
    남아프리카
    북유럽
    한국
    베네룩스
    영국, 아일랜드
    중동
    중앙 유럽
    프랑스

  • 컵헤드: 빠르게 굴리는 주사위 게임 한국어 규칙서

    2월 15th, 2022
    cuphead-fast-rolling-dice-game다운로드하기
  • 이베리안 게이지(Iberian Gauge) 룰북

    2월 12th, 2022
    iberian_gauge_kr다운로드하기

    캡스톤 게임즈의 이베리안 게이지(Iberian Gauge) 한국어 규칙서입니다.

  • 자 토리테(ザ·トリテ) 규칙

    2월 5th, 2022

    게임 기본 정보

    장르: 협력 트릭테이킹
    인원수: 2-4인
    카드 구성: 2,4인 게임 – 조커를 제외한 52장의 카드를 사용. 3인 게임 – 2,3,4까지 추가로 제외한 40장의 카드를 사용.

    3,4인 규칙과 2인 규칙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 2인 규칙은 마지막에 정리해두었다.

    카드의 서열

    각 숫자는 A>K>Q>J>…>3>2의 강약을 가진다.

    게임의 준비 – 3,4인

    1. 플레이어들은 각자 13장씩 카드를 나누어받는다. 3인 게임이라면 1장이 남는데, 앞면으로 한쪽에 치워둔다.
    2. 4인 게임이라면 ♣2를 가진 사람이, 3인 게임이라면 ♣5를 가진 사람이 선 플레이어가 된다. (게임이 시작되고 그 카드를 바로 낼 필요는 없다)
    3. 이 게임에서 으뜸패는 ♠로 고정된다.
    4. 자 토리테는 협력 게임이기 때문에 모두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가야한다. 그러므로 서로 게임의 흐름에 대해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자신이 갖고있는 카드 숫자를 말하는 것은 금지된다. 어떤 카드를 낼 것이고 어떤 문양이 손에 있는지는 얘기할 수 있다. 그리고 협력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트릭에서 지는 등의 플레이가 필요하다.

    게임의 진행

    1. 선 플레이어부터 카드를 한 장씩 낸다. 그 문양의 카드를 무조건 내야한다거나 으뜸패가 이기는 등의 일반적인 트릭테이킹 규칙을 모두 따른다. 획득한 트릭은 자신 앞에 놓아둔다.
    2. 각자 손에 1장의 카드가 남으면(12번의 트릭) 게임이 종료된다.

    승패 판정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게임에서 승리한다.

    1. 4인 게임
      1. 각자 획득한 트릭이 정확히 0/2/4/6 트릭이다.
      2. 각자 손에 남은 1장의 카드 문양이 서로 모두 다르다.
    2. 3인 게임
      1. 각자 획득한 트릭이 정확히 0/4/8 트릭이다.
      2. 각자 손에 남은 1장과 처음 제외했던 카드를 포함해 카드 문양이 서로 모두 다르다.

    성공했다면 점수를 계산해볼 수 있다.
    (트릭을 제일 많이 획득한 사람이 마지막에 갖고있던 카드 숫자) – (트릭을 제일 적게 획득한 사람이 마지막에 갖고있던 카드 숫자) + 12 = 점수
    그러므로 최고 점수는 A – 2 + 12 = 24이고, 최저점수는 2 – A + 12 = 0이 된다.

    게임의 준비와 진행, 승패 판정 – 2인

    1. 플레이어들은 각자 13장씩 카드를 나누어받는다. 남은 카드 26장은 뒷면으로 쌓아둔다.
    2. 가위바위보 등의 방법으로 선 플레이어를 정한다.
    3. 일반적인 진행은 3,4인 게임과 같다. 각자 손에 1장의 카드가 남으면(12번의 트릭) 그 카드를 공개해 한쪽에 치워둔다. 여기까지를 전반부라고 부른다. 전반부에서 각자 획득한 트릭이 정확히 4/8트릭이라면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하며, 그렇지 않다면 중도 패배한다.
    4. 플레이어들은 남은 카드 26장을 이용해 각자 13장씩 카드를 다시 나누어받고 후반부를 진행한다. 각자 손에 1장의 카드가 남으면(추가 12번의 트릭) 후반부까지 종료된다.
    5. 아래 규칙에 따라 승패를 판정한다.
      1. 후반부에서 각자 획득한 트릭이 정확히 4/8트릭이다.
      2. 전반부에서 남은 카드 2장, 후반부에서 남은 카드 2장을 모두 비교해 카드 문양이 서로 모두 다르다.

    총평

    일본의 게임 디자이너 S. Ando가 고안한 자 토리테(ザ·トリテ)는 디 크루와 같은 느낌의 협력 트릭테이킹입니다. 정확한 횟수의 트릭을 획득해야한다는 점은 비슷하지만 문양을 상의해 마지막 1장을 잘 남기는 요소는 디 크루에 없던 방식이죠. 자 토리테는 나중에 상용 게임으로 출판되기도 했습니다. https://boardgamegeek.com/boardgame/322448/torite

  • 듀락(Durak) 규칙

    2월 3rd, 2022

    게임 기본 정보

    장르: 손털기
    인원수: 2인
    카드 구성: 6-A(36장)을 사용.

    게임의 준비

    1. 플레이어들은 각자 6장씩 카드를 나누어받고 남은 카드는 뒷면으로 뽑을 더미를 만들어 쌓아놓는다.
    2. 뽑을 더미 가장 위에 있는 카드를 공개해 뽑을 더미 가장 아래에 살짝 보이게 놓는다. 그 카드의 문양이 이번 게임의 으뜸패가 되고, 제일 마지막에 뽑을 카드가 되는 것이다.
    3. 으뜸패 6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선 플레이어가 된다. 만약 아무도 없다면 7, 8, 9… 순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선 플레이어가 된다. 선 플레이어가 먼저 공격을 담당하고 상대 플레이어는 방어를 담당한다.
    카드의 서열

    각 숫자는 A>K>Q>J>10>9>8>7>6의 강약을 가진다.

    게임의 진행

    1. 공격자(선 플레이어)는 원하는 카드를 1장 중앙에 내며 공격한다.
    2. 방어자(다음 플레이어)는 공격자의 카드를 방어할지 패스할지 정한다.
      1. 방어하기로 했다면 카드를 내야한다. 카드를 낼 때에는 같은 문양의 숫자가 큰 카드를 내거나 혹은 으뜸패를 내야한다.
      2. 방어자가 카드를 내서 방어했다면 공격자는 추가로 카드를 내서 공격할지 패스할지 정한다. 계속해서 공격할 때는 전에 나왔던 숫자들 중 하나를 내야한다. 예를 들어, 공격자가 ♡6을 냈고 방어자가 ♡10을 내서 방어한 후 재차 공격자가 공격할 때에는 6이나 10 카드를 내야 하는 것이다.
    3. 이런 식으로 카드를 낼지 패스할지 반복하다가 공격자나 방어자 중 한 명이라도 패스하면 그 라운드는 끝난다.
      1. 방어자가 패스했다면 방어자는 나온 카드들을 모두 손패로 가져간다.
      2. 공격자가 패스했다면 나온 카드들을 모두 게임에서 제외한다.
    4. 그 후 두 플레이어 모두 손패를 보충한다. 공격자부터 손패가 6장이 될 때까지 뽑을 더미에서 카드를 뽑고 이어서 방어자가 뽑는다. 만약 손패가 6장 이상이라면 뽑지 않고, 뽑을 더미가 다 떨어졌다면 더 이상 뽑지 않는다.
    5. 다음 공격자를 정한다. 공격자가 패스했었다면 방어자가 새로운 공격자가 된다. 방어자가 패스했었다면 그대로 유지된다.
    6. 계속해서 이런 공방을 주고받는다.
    7. 만약 한 라운드에서 연속해서 6번의 공방을 주고받았다면 그 카드(12장)들은 전부 게임에서 제외되고 공격자가 새로운 카드를 내면서 라운드를 계속한다.

    게임의 종료

    뽑을 더미가 다 떨어진 후, 손패까지 다 사용한 플레이어가 있다면 그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총평

    공격과 방어를 번갈아 가며 진행하는 듀락은 러시아를 비롯한 소련 출신 국가에서 매우 대중적인 게임입니다. 그리고 듀락은 러시아말로 ‘바보’를 뜻합니다. 손패를 끝까지 들고있던 사람(패배한 사람)을 듀락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트릭테이킹 같은 느낌이 나지만 공방을 주고받는 점이 특이한 게임입니다.

  • 보헤미안 슈나이더(Bohemian Schneider) 규칙

    2월 2nd, 2022

    게임 기본 정보

    장르: 트릭테이킹
    인원수: 2인
    카드 구성: 7-A(32장)을 사용.

    게임의 준비

    1. 플레이어들은 각자 6장씩 카드를 나누어받고 남은 카드는 뒷면으로 뽑을 더미를 만들어 쌓아놓는다.
    2. 선 플레이어를 정하고 선 플레이어부터 카드를 낸다.
    카드의 서열

    각 숫자는 A>K>Q>J>10>9>8>7의 강약을 가진다.

    게임의 진행

    1. 선 플레이어는 카드를 1장 내려놓는다.
    2. 다음 차례 플레이어는 원하는 카드를 내려놓는다. 이때 문양이 같을 필요는 없다. 만약 낸 카드가 전 카드보다 정확하게 1 큰 카드였다면 해당 차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예: 선이 ♡8을 낸 다음 ♣9를 냈다). 정확하게 1 크지 않은 카드였다면 선 플레이어가 승리한다(예: 선이 ♡8을 낸 다음 ♡J를 냈다).
    3. 트릭에서 이긴 플레이어는 해당 카드를 전부 가져와 자신 앞에 뒷면으로 놓는다. 획득한 카드들은 점수가 된다.
    4. 두 플레이어 모두 뽑을 더미에서 카드를 1장씩 뽑아 손에 추가한다. 트릭에서 이긴 플레이어가 카드를 내며 다음 트릭을 시작한다.
    5. 뽑을 더미가 다 떨어졌다면 카드를 더 이상 뽑지 않고 손에 들고있는 카드만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의 종료

    손에 들고 있던 카드까지 모두 사용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각자 획득한 카드의 점수를 계산한다. 카드의 총 점수는 120점이므로 절반 초과, 즉 61점 이상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숫자7~910JQKA
    점수0점10점2점3점4점11점

    변형 규칙

    1. 7이 A를 이기는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2. 각 카드가 점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획득한 A-10 카드의 양을 비교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수도 있다. 총 20장이므로, 11장 이상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것이다.

    총평

    보헤미안 슈나이더는 번갈아 가며 카드를 내는 트릭테이킹의 기본 골자만 있고, 문양을 따라야 한다거나 으뜸패가 이기는 등의 규칙은 전혀 없습니다. 대신 트릭에서 승리하려면 전 플레이어가 낸 카드보다 정확하게 1 큰 카드를 내야한다는 규칙이 있죠.

    그리고 점수를 가만 보면 10 카드의 점수가 굉장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깐 10을 이기려면 J 카드를 손에 남겨둬야 나중에 10 카드가 등장했을 때 먹을 수가 있다는건데, 10이 나오기 전까지는 크게 의미가 없기 때문에 손패를 그냥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에 그냥 버리는 패로 사용해버리면 상대방이 바로 10 카드를 다음에 낼 수 있기 때문에, 카드를 내는 타이밍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 저먼 휘스트(German Whist) 규칙

    2월 2nd, 2022

    게임 기본 정보

    장르: 트릭테이킹
    인원수: 2인
    카드 구성: 조커를 제외한 52장을 사용.

    게임의 준비

    1. 플레이어들은 각자 13장씩 카드를 나눠받고 남은 26장의 카드는 뽑을 더미를 만들어 놓는다. 뽑을 더미 가장 위의 카드를 공개하고, 그 카드의 문양이 이번 게임의 으뜸패가 된다.
    2. 선 플레이어를 정하고 선 플레이어부터 카드를 낸다.
    카드의 서열

    각 숫자는 A>K>Q>J>…>3>2의 강약을 가진다.

    게임의 진행

    1. 선 플레이어는 카드를 1장 내려놓는다.
    2. 다음 차례 플레이어는 같은 문양의 카드를 내야한다. 만약 같은 문양의 카드가 없다면 아무 카드나 내도 된다. 일반적인 트릭테이킹 게임의 규칙을 따른다.
    3. 트릭에서 이긴 사람은 앞면으로 공개되어있던 카드를 손으로 가져오고, 트릭에서 진 사람은 뽑을 더미에서 뒷면으로 한 장을 뽑는다. 획득한 트릭은 뒷면으로 하여 버리고 뽑을 더미에서 새로운 카드를 공개해놓는다. 이때 으뜸패는 바뀌는 것이 아니고, 최초 공개했던 카드의 문양이 계속해서 으뜸패이다.
    4. 트릭에서 이긴 사람이 다음 트릭의 선 플레이어가 되어 카드를 낸다. 이 과정을 13번 반복하면 뽑을 더미의 카드가 다 떨어지게 된다.
    5. 14번째의 트릭(뽑을 더미가 다 떨어진 후)부터는 점수 계산이 이루어진다. 더 이상 카드를 뽑지 않으며, 트릭의 승자는 이긴 트릭의 카드를 가져와 자신 앞에 뒷면으로 놓아 자신이 몇 트릭 승리했는지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게임의 종료

    손에 들고 있던 모든 카드를 사용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각자 획득한 트릭의 수를 비교해서 더 많은 트릭을 획득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총평

    저먼 휘스트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는 게임입니다. 전반부에는 트릭에서 이겨도 점수를 얻지 못하고, 후반부에서 이겨야 점수가 됩니다. 전반부에서는 후반부에서 이길 수 있도록 손패에 좋은 카드를 남겨놓는 것을 목표로 합시다. 매 트릭마다 카드가 1장씩 공개되고 그것을 트릭의 승자가 가져가기 때문에 좋은 카드가 공개되었다면 후반부에 사용하려고 아껴놨던 카드를 과감히 사용할 필요도 있습니다.

  • 셰리프(Sheriff) 규칙

    2월 2nd, 2022

    게임 기본 정보

    장르: 트릭테이킹
    인원수: 3인
    카드 구성: 10-A(20장)에 조커 1장을 포함한 21장

    게임의 준비

    1. 각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7장씩 나누어준다. 조커를 받은 사람부터 시계 방향으로 자신의 역할을 정한다.
    2. 역할은 보안관, 강도, 시장 3가지로 나뉜다. 각 역할은 점수가 되는 카드가 서로 다르다.
      1. 보안관: 획득한 K 카드 1장당 1점을 얻는다.
      2. 강도: 획득한 10 카드 1장당 1점을 얻는다.
      3. 시장: 획득한 Q와 J 카드 1장당 1점을 얻는다. 그리고 보안관이 획득하지 못한 K 카드 1장당 -1점을 얻는다. 강도가 획득하지 못한 10 카드 1장당 -1점도 얻는다. 벌점을 얻을 때 점수가 0점보다 아래로 내려가지는 않는다.
    3. 각자 역할을 정한 후, 시장이 이번 게임의 으뜸패를 선언한다. 으뜸패 없음을 선언해도 괜찮다.
    카드의 서열

    각 숫자는 A>K>Q>J>10의 강약을 가진다.

    게임의 진행

    1. 선 플레이어부터 카드를 1장씩 내려놓는다.
    2. 다음 차례 플레이어는 같은 문양의 카드를 내야한다. 만약 같은 문양의 카드가 없다면 아무 카드나 내도 된다. 일반적인 트릭테이킹 게임의 규칙을 따른다.
    3. 7장의 카드를 다 소모할 때까지 라운드를 진행한다.
    4. 한 라운드가 종료되었으면 점수를 계산한다.
    5. 조커는 자신의 손에 같은 문양의 카드(리드 수트)가 있어도 낼 수 있지만 무조건 트릭에서 진다. 선 플레이어가 조커를 내며 트릭을 시작했다면 그 다음 플레이어가 낸 카드가 리드 수트가 된다.

    게임의 종료

    어떤 플레이어가 누적 점수 8점을 얻었다면 게임이 종료되고, 그렇지 않다면 카드를 다시 나누어받고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한다. 새로운 게임을 할 때에는 자신의 점수만 유지되고, 각자의 직업이나 으뜸패는 새롭게 정해야 한다.


    총평

    시장은 보안관, 강도와 다르게 한 게임에서 최대 8점을 획득할 수 있는 강력한 직업입니다. 그러므로 강도와 보안관은 약간의 협력 구도로 시장을 방해하며 자신의 점수 카드를 획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시장을 방해하기 위해 일부러 본인의 점수 카드를 먹지 않아 시장에게 마이너스 점수를 안겨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과도하게 시장을 견제한다면 반대로 다른 플레이어가 승리해버리게 되므로, 적절한 완급 조절이 필요한 게임입니다.

    셰리프는 약간의 테마가 들어 있어, 몰입하기 좋은 간단한 트릭테이킹 게임입니다. 거기에 리드 수트에 무조건 따라야된다거나 으뜸패 규칙이 있는 등 트릭테이킹에 입문하는 사람에게도 추천할 수 있는 게임입니다.

  • 카르카손 미니 확장 규칙 링크 모음집

    1월 27th, 2022

    이미지를 누르면 해당 미니 확장의 규칙서가 있는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Carcassonne: The School Cover Artwork

    학교 미니 확장

    Carcassonne: Das Labyrinth Cover Artwork

    미로 미니 확장

    Carcassonne: Die Wahrsagerin Cover Artwork

    점쟁이 미니 확장

    Carcassonne: German Cathedrals Cover Artwork

    독일 대성당 미니 확장

    Carcassonne: Klöster in Deutschland Cover Artwork

    독일의 수도원 미니 확장

    Carcassonne - Die Wegweiser (2021 D/EN)

    이정표 미니 확장

    Carcassonne - Die Geschenke (2021 DE/EN)

    선물 미니 확장

    Carcassonne - Die Landvermesser (print & play, DE/EN)

    토지 측량사 미니 확장

    1인 규칙

←이전 페이지
1 2 3 4 5 … 17
다음 페이지→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웹사이트 또는 블로그 만들기

 

댓글 로드중...
 

    • 팔로우 팔로우중
      • rigmarole
      • 이미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을 갖고 계세요? 지금 로그인하세요.
      • rigmarole
      • 사이트 편집
      • 팔로우 팔로우중
      • 가입
      • 로그인
      • 이 콘텐츠 신고하기
      • 리더에서 사이트 보기
      • 구독 관리
      • 이 표시줄 축소